Admin   접속자 23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해양생태정보자료실

국제환경규격(國際環境規格, ISO 14000시리즈) :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01-09-25 23:00 조회557회 댓글0건

본문

국제환경규격인 ISO 14000 규격이라고도 한다. 기업의 환경경영체제, 능력, 서비스, 환경성과 등을 평가하여 환경 인증을 주는 환경경영 국제규격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는 기업의 경영활동 전단계에서 환경문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평가하여 환경오염을 자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업들이 지켜야 할 환경분야의 표준화규격이다.

1991.4월 UNCED/BCSD의 환경규격 표준화작업 요청에 따라 ISO/IEC는 동년 9월 표준화작업을 위해 환경 전략자문그룹(SAGE)을 설치하였고 SAGE는 본격적인 작업을 위해 1993년에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를 설립하여 7개분야의 환경경영표준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환경경영기준의 표준화제도는 세계 모든 기업들이 지켜야 할 환경기준의 표준화작업으로서 기업의 환경보호책임을 강조하고 자율적인 환경보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선진국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참고: ISO 9000시리즈는 품질경영 및 품질보증규격을 말한다.)

환경경영체제에 관한 국제 표준화 규격의 통칭으로, 기업활동 전반에 걸친 환경경영체제를 평가하여 객관적으로 인증(認證)하는 것이다. 기업이 단순히 해당 환경법규나 국제기준을 준수했는지를 평가할 뿐만 아니라 경영활동 전(全)단계에 걸쳐 환경방침, 추진계획, 실행 및 시정 조치, 경영자 검토, 지속적 개선들의 포괄적인 환경경영도 실시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1990년대 들어 환경보호를 위한 국제적 공동대응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1991년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ISO(국제표준화기구)와 IEC(국제전기표준회의)에 환경관리에 관한 국제표준 제정을 요청하였다. 1993년 ISO와 IEC는 SAGE(Strategic Advisory Group on Environment:환경전략자문그룹)을 설치하고, 이 그룹의 건의에 따라 ISO/TC207(환경경영위원회)을 설립하였다. 1996년 9월 ISO 14001 국제규격이 제정되고 각국에서 ISO 14000 인증제도 실시를 시작하였다.

ISO 9개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TC) 중 환경경영위원회가 연구·개발하는 규격은 다음과 같은 7개 부문이다. ① 기업 경영자가 환경보전 및 관리를 경영의 목표로 채택하여 기업 내 환경경영체제를 도입, 철저히 이행하고 기업의 환경경영성과를 정기적으로 이해관계자 및 제3자에게 공표하도록 하는 환경경영체제(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EMS) ② 제3의 환경감사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도록 하는 인증 및 감사(environmental auditing:EA) ③ 상품의 환경성 인증과 용어표시 내용의 확인방법 및 환경라벨에 대한 지침(environmental labelling:EL) ④ 기술개선을 위한 기법규격으로서 환경성과 평가(enviro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EPE) ⑤ 라이프사이클 분석(life cycle analysis:LCA) ⑥ 제품규격의 환경적 측면(environmental aspects in product standard:EAPS) ⑦ 환경용어 및 정의(terms & definitions:T&D).

ISO 14000 시리즈란 ISO/TC 207에서 환경경영에 대한 규격화를 추진하는 규격들의 일련번호로서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는 7개의 주제별로 10단위씩 번호가 부여된다. 이중 ISO 14001 규격은 환경경영체제 사용을 위한 세부지침으로 1996년 9월에 제정되었고, 10월 보완규격인 환경감사 규격(ISO 14010, 14011, 14012)이 제정·공표되었다.

일본에서는 통산성(通産省)이 ISO 14001 규격에 맞는 일본공업규격(JIS)을 같은 해 10월에 제정하였고, 국내에서도 1996년 12월 7일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동일 규격인 KS A/14001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산업자원부가 지정·감독하는 12개의 인증기관이 인증업무를 담당하는데, 2000년 8월 말 현재 427개 업체가 인증을 획득했다.